나라통계 2.0 시스템은? 
         통계기획에서 생산, 자료관리까지 일련의 과정을 일원화하여 국가통계 생산 및 관리체계의 표준화로 통계품질을 제고합니다.
  
     
    목적
 
    통계작성 전 과정을 표준화하여 통계작성기관이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통계정보시스템 구축으로 통계품질을 제고하고 저비용 고효율의 통계생산 관리체계 확립
    
        - 표준화된 통계시스템의 공동 활용에 따른 통계품질 향상 및 국가예산 절감
- 범용통계정보시스템 구축으로 국가자산의 효율적 관리 및 업무생산성 향상
 
        - 
            1단계 통계기획 
- 
            2단계 생산 
- 
            3단계 분석 
- 
            4단계 서비스 
-  
            5단계 자료관리 
추진 배경
 
    
        - 통계생산 및 관리 프로세스 비표준화로 업무효율성 저하
- 분산형 국가통계체계하에서 통계조사별 시스템 개발로 인한 예산낭비 초래
- 열악한 통계작성기관의 통계 생산활동 지원을 위한 국가데이터처의 허브역할 요구
- 정보화ㆍ지식화시대 도래에 따른 다양한 통계정보 요구증대에 대응할 수 있는 통계생산체계 구축 요구
필요성
     
    
        - 통계 기획에서 생산․서비스․자료보관까지 통계작성과정을 표준화하여 국가통계 품질제고
- 새로운 정책 수요에 필요한 통계를 신속하고 효율적인 방법으로 생산할 수 있는 지원체계 마련
-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으로 통계시스템의 기관별 조사별 개별 구축과 유지보수로 인한 국가적 부담 최소화
- 통계정책(조정,품질 등)과 통계정보시스템을 연계하여 업무처리 과정을 모니터링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체계 마련
주요추진전략
     
    
        
            - 통계생산
 패러다임 전환
 지원전략
- 
                디지털조사 지원체계 정립
                행정자료활용 지원체계 정립
                표준 자료처리 지원체계 정립
                데이터 분석 지원 인프라 구축
            
            - 정보기술
 패러다임 전환
 지원전략
- 
                서비스 지향적 응용 아키텍쳐 구축
                마스터 기반 데이터 관리체계 정립
                클라우드 시스템 인프라 구축
                DevOps 거버넌스  체계 정립
            
 
    
        
            통계기획에서
                생산 · 서비스  · 자료보관까지 통계작성 전 과정을 표준화하여
                국가통계품질제고와
 저비용 · 고효율 통계생산체계 구축
            
            통계작성기관 공동 활용이 가능한
 통계생산시스템 인프라 구축
        
        
             
            
                나라통계 2.0 시스템 특징
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- 
                        1. 신뢰기반 통계행정 지원체계 마련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국가통계 중복성 제거와 정합성 제고
- 과학적 의사결정 지원체계 마련
 
- 
                        2. 저비용 · 고효율 통계 생산체계 구축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통계 생산방식의 선진화
- 통계 서비스 개선을 통한 만족도 제고
 
- 
                        3. 정책지원 및 품질제고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다양한 수요 대응과 적기 생산으로 활용도 제고
- 통계정책과 연계된 표준 프로세스로 통계품질 제고
 
- 
                        4. 통계 생산 산업화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통계 생산 및 자원효율화를 위한 융복합 시스템
- 기관 간 공동활용 및 정보 공유체계 확립
 
- 
                        5. 국가 경쟁력 강화
                        
                            - 국가적 통계 생산기법연구, 개발 참여
- 해외수출 기반마련 및 지원체계 수립